시간 | 내용/제목 | 좌장/발표자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10:00~10:20 | 개회사 (국립전파연구원장) 축사 (유엔 우주사무국장(UNOOSA), 미해양대기청(NOAA), 한국천문연구원장, 한국우주과학회장) |
장동선 대표 | |||
시간 | 기조연설 | ||||
10:20~10:50 | United States Space Weather Activity | Clinton Wallace (SWPC Director) |
|||
10:50~11:20 | Parker Solar Probe: A New Era of Space Exploration | Angelos Vourlidas (JHU/APL) |
|||
11:20~11:40 | 우주전파재난에 대한 국제 협력과 국가별 대응 노력: 팬더믹 사태의 교훈 | 이동훈 교수 (경희대학교) |
|||
11:40~12:00 | 우주전파센터 주요 성과 및 발전 방향 | 김정훈 센터장 (우주전파센터) |
|||
12:00~13:00 | 오찬 | ||||
시간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|
세션1-1. 국제 우주전파환경 활동 현황 | 장동선 | 세션2-1. 인공지능 기반 우주전파환경 | 문준철 (우주전파센터) |
||
13:00~13:25 | The International Space Environment Service | Jesse Andries (SIDC) |
13:00~13:30 | 태양활동 연구를 위한 데이터 분석 사용법 | 김영욱 (펜타시스템) |
13:30~13:50 | ICAO view and Finnish Space weather service | Kirsti Kauristie (FMI) |
13:30~14:00 | 통신 및 금융 분야 대규모 시계열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모델 개발 및 운영 방안 | 김태영 (인공지능팩토리) |
14:00~14:15 | Development of European Space Agency’s Space Weather System | Juha-Pekka Luntama (ESA) |
14:00~14:30 | 우주전파환경 모니터링과 예보를 위한 딥러닝 모델 | 문용재 (경희대학교) |
14:15~14:40 | COSPAR View on Space weather: A Small Satellite Constellation | Daniel N. Baker (LASP) |
14:30~15:00 | 우주전파환경 빅데이터/AI 플랫폼 구축 | 조정희 (우주전파센터) |
14:40~15:05 | A Decad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| Terry Onsager (NOAA) |
|||
15:05~15:30 | International Committee o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(ICG) related to Space weather and GNSS | Sharafat Gadimova (UNOOSA) |
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|
세션2-2. 인공위성의 활용과 기대 | 윤기창 (우주전파센터) |
||||
시간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15:00~15:30 | 우리나라 위성개발 현황 및 전망 | 강경인 (한국연구재단) |
세션1-2. 우주전파환경 연구현황: 전리권 | 구종모 (우주전파센터) |
||||
15:30~16:00 | 자료동화 기법과 전리권 물리모델을 활용한 지역 전리권 예측연구 | 김정헌 (한국천문연구원) |
|||
15:30~16:00 | 우주방사선 측정장비 개발 | 남욱원 (한국천문연구원) |
|||
16:00~16:30 | 전리권 폭풍과 평균변화에 대한 GNSS 우주환경 고찰 | 정종균 (한국천문연구원) |
뉴 스페이스 시대에서의 초소형위성 개발동향과 우주전파환경 모니터링 | 이호진 (솔탑) |
|
16:30~17:00 | AI를 활용한 우주전파재난 분석 및 예측 | 박일수 (와이비텔) |
우주전파환경 위성 관측 | 윤기창 (우주전파센터) |
※ 한-영/영-한 동시통역 세션(파란색 표기)
시간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세션3-1. 우주전파환경 연구현황: 태양흑점폭발 | 김재훈 (우주전파센터) |
세션4-1. 우주전파재난 영향 및 대응1 | 김영규 (우주전파센터) |
||
10:00~10:30 | 태양분출의 원동력 | 채종철 (서울대학교) |
산업분야별 우주전파재난 등급화 연구 | 윤아미 (레이다앤스페이스) |
|
10:30~11:00 | 태양흑점폭발 분석 및 예측 기술 연구 | 서행자 (인스페이스) |
태양흑점 폭발이 GNSS 신호에 미치는 영향 분석 | 신천식 (한국전자통신연구원) |
|
11:00~11:30 | 미래 주파수 자원 활용을 대비한 차세대 태양 노이즈 관측 기술 연구의 필요성 | 전호철 (레이다앤스페이스) |
우주전파환경 변화가 전력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| 이병윤 (한국전기연구원) |
|
11:30~12:00 | 우주전파센터의 태양전파 지상관측기 현황 | 김재훈 (우주전파센터) |
우주전파재난 관리 및 현황 | 권은주 (우주전파센터) |
|
12:00~13:00 | 오찬 | ||||
시간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|
세션3-2. 우주전파환경 연구현황: 고에너지입자 | 문준철 (우주전파센터) |
세션4-2. 우주전파재난 영향 및 대응2 | 소승호 (우주전파센터) |
||
13:00~13:30 | 우주선 중성자 관측기를 이용한 우주선 연구 | 오수연 (전남대학교) |
우주방사선 피폭선량 분석 및 안전관리 개선방안 | 안희복 (대한항공) |
|
13:30~14:00 | 항공우주방사선 피폭선량 예측 모델 비교 분석 | 김학창 (인스페이스) |
우주위험에 대한 우주환경감시기관의 대응 계획 | 박장현 (한국천문연구원) |
|
14:00~14:30 | Halo CME의 새로운 해석과 지자기폭풍과 태양 고에너지입자 예보의 고도화 | 권윤영 (한국천문연구원) |
우주환경에 따른 저궤도 위성운영 영향 분석 | 정옥철 (한국항공우주연구원) |
|
14:30~15:00 | 우주환경이 위성에 미치는 영향과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| 황정아 (한국천문연구원) |
해양 PNT 기술개발 현황 및 향후 발전 방향 (위성 및 지상파항법시스템을 중심으로) |
박순 (국립해양측위정보원) |
|
시간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내용/제목 | 사회/발표자 | |
세션3-3. 우주전파환경 연구현황: 지자기 | 조정희 (우주전파센터) |
세션4-3. 우주전파환경 인식확산 교육 | 홍석보 (우주전파센터) |
||
15:00~15:30 | 지구자기장 측정 및 분석 | 박포규(한국표준과학연구원) | 우주전파재난 안전캠프 |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 |
|
15:30~16:00 | 위성-지상 자기장 자료를 이용한 우주전파환경 연구 | 김관혁 (경희대학교) |
직무역량 향상교육 |
(예보)예경보 분석 | 문준철 (우주전파센터) |
16:00~16:30 |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Dst지수 예측 모델 | 이재진 (한국천문연구원) |
(통신)단파통신의 원리 | 최용석 (한국아마추어무선통신연맹) |
|
16:30~17:00 | 지자기 관측자료 통합수집 및 품질관리 기술 개발 | 최규철 (에스이랩) |
(항법)GPS 전리권 신틸레이션 | 정종균 (한국천문연구원) |
|
17:00~17:30 | 직무역량향상교육(항공) 우주방사선 | 황정아 (한국천문연구원) |
(위성)위성대전체 현상 | 이준현 (경희대학교) |
※ 한-영/영-한 동시통역 세션(파란색 표기)